뇌의 손상을 최소화하고 뛰어난 신경 신호 감지를 동시에 달성할 수 있는 수 나노미터 두께의 ‘거미줄 탐침’이 소개됐다. 박홍규 교수 연구팀은 원자 단위로 얇은 그래핀과 육방정 질화...
연구뉴스
서울대 자연과학대학 생명과학부 조형택 교수 연구실의 맹광호, 이효동 학생은 세포막을 구성하는 지질 분자를 인산화시키는 효소인 FAB1C가 직접 PIN 단백질과 결합함으로써 세포막에...
전헌수 서울대 물리천문학부 교수·박연상 충남대 물리학과 교수 연구팀은 공진공동 효과를 활용해 새로운 형광체를 개발했다고 30일 밝혔다. 이번 연구 결과는 세계적 학술지 네이처의 자...
서울대학교(SNU) 화학부 이현우 교수, 생명과학부 김종서 교수, 한국과학기술원(KAIST) 서재명 교수, 및 한국생명공학연구원(KRIBB) 이규선 박사 연구팀으로 이루어진 공동 ...
서울대는 화학부 김석희 교수 연구진(천연물과학연구소 겸무)과 천연과학연구소 오동찬 교수 연구진이 P450 펩타이드 거대고리화 효소의 다양성을 생물정보 분석으로 크게 확장하고 그 결...
인간의 면역 관련 단백질 중 상당수가 박테리아에서 발견되는 단백질과 비슷한 3차원 형태를 가지고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서울대학교 연구팀이 수억개의 단백질 구조를 비교해 그동...
서울대는 임종우 화학부 교수와 LG에너지솔루션 공동연구팀이 리튬 이차전지가 충전된 상태로 시간이 흐를 때 저장퇴화되는 메커니즘을 규명했다고 22일 밝혔다. 연구팀은 “이차전지의 ...
서울대-UNIST 공동연구팀은 구리-클릭 반응을 활용해 인간세포 내 특정 공간에서 알카인 기와 아자이드 기를 갖는 대사물질을 레이블링 할 수 있는 Gen-Click 반응을 개발했다...
국내 연구진이 주도한 연구팀이 세계 최대 전파망원경 시설을 활용해 태아별이 성장을 위해 기체를 흡입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4일 서울대에 따르면 이정은 물리‧천문학과 교수가 이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