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민경 서울대 생명과학부 교수는 26일 ‘2022 서울미래컨퍼런스’에서 단백질 구조를 인공지능(AI) 컴퓨터로 예측하는 기술이 코로나19 같은 신종 바이러스의 백신이나 신약 개발의...
연구뉴스
화학부 이동환 교수 연구진이 세포 소기관인 소포체 내의 미세한 환경 변화를 감지해 바이러스에 감염된 세포에서만 밝게 빛나는 형광체를 개발해 단일 세포 수준에서 조류인플루엔자를 검출...
서울대 생명과학부 김형 교수 연구팀은 눈 움직임 기반 인지행동패러다임과 인지행동 컴퓨터모델링을 통해 인간이 주위 물체들에 주의집중을 하게 만드는 인간의 ‘주의집중 3요소’를 밝히고...
서울대와 국제 공동 연구진이 수영이나 조깅 등의 '능동적 신체활동'이나 텔레비전 시청, 컴퓨터 게임 같은 '수동적 신체활동'에 영향을 끼치는 유전자의 위치(좌위·genetic lo...
차세대 반도체 소재로 각광받고 있는 이황화몰리브덴의 전자 이동도를 극대화하는 방법이 물리천문학부 이탁희 교수와 재료공학부 강기훈 교수 연구팀에 의해 규명됐다고 22일 밝혔다. 본 ...
서울대학교 연구팀이 빛으로 동작하는 초방사 양자 엔진을 세계 최초로 구현했다. 이번 연구로 고성능 엔진 개발의 길이 열릴 전망이다. 22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안경원 서울대 교수 ...
서울대 자연과학대학 김재범 교수 연구팀(제1 저자 박제우 연구원)이 '노화에 의한 피하지방조직 감소 과정 규명' 연구를 통해 노화된 개체에서 피하지방조직을 복구시켜 전신적 에너지대...
생명과학부 이유리 교수 연구팀이 활성산소의 대사가 식물의 꽃잎이 떨어지는 시기를 결정하는데 중요하게 작용한다는 것을 규명했다고 29일 전했다. 본 연구 결과는 식물세포 외부의 활...
서울대학교 통계학과 박태성 교수는 김보람연구원과 박찬우연구원과 공동으로 딥 러닝에 기반하여 유전자, 단백질 등과 같은 생물학적 인자의 복잡한 비선형적 상호작용을 반영하여 패스웨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