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청암재단은 5일 서울 강남구 대치동 포스코센터에서 제17회 ‘2023 포스코청암상’ 시상식을 개최했다. 박제근 서울대 물리천문학부 교수, 최재천 이화여대 석좌교수, 서정화 열...
“” 로(으로) 검색한 결과 입니다.
서울대 화학부 임종우 교수 연구팀은 반도체에 사용되는 실리콘 웨이퍼를 전고체 배터리에 적용해 고용량의 안정적인 구동에 성공했다고 3일 밝혔다. 오늘날 전기 자동차에 포함된 배터리...
기초과학연구원(IBS)은 최근 ‘RNA 유전자 치료제 개발 새 가능성 열었다’는 제목 하에 김빛내리 단장 연구팀이 miRNA 생성과 RNA 치료제에 중요한 ‘다이서(DICER) 단...
서울대 자연과학대학 화학부 박승범 교수 연구팀은 의과대학 이동섭 교수 연구팀과 공동연구를 통해 발표한 '표적단백질 분해제어 전략을 통한 STING 기반 면역항암요법의 효능 증대' ...
서울대 화학부 송윤주 교수 연구팀은 단백질 구조와 반응성은 거의 같지만 서로 다른 금속이온 망간과 니켈에 대해 반응성을 가지는 QueD 금속효소에 주목했다. QueD는 다양한 과일...
최근 국내 연구진이 콜레스테롤의 노화 유도 기전을 새롭게 밝혀내, 이러한 난제 해결에 중요한 실마리를 제공했다. 서울대학교 생명과학부 강찬희∙김진홍 교수가 이끄는 공동 연구진은 3...
김빛내리 연구팀, 네이처에 발표, ‘두번째 칼’ 단백질 작동원리 규명 질병 치료제로 활용 가능성 확인, “유전자 조절하는 기술 개발 가능”
[고지식 만담회 3회] 기후변화, 그리고 위기의 지구
Q. 올 겨울 동아시아의 한파, 왜? Q. 지구 기온 오르는데, 왜 한파일까? Q. 지구온난화는 ‘허구’란 주장에 대해.. Q. 온난화의 결정적 이유는 ‘인간’? Q. 1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