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기초과학연구소 자율운영중점연구지원사업단은 지난 17일 한라도서관에서 ‘제34회 기초과학 전문가 초청 대중 강연’을 개최했다. 연사로 나선 이준호 서울대 기초과학연구원장...
“이준호” 로(으로) 검색한 결과 입니다.
2025년 우리는 대전환기에 서 있다. 인공지능 시대, 우리는 혁명적 수준의 과학혁신 시대에 살고 있다. 과학기술의 양적성장을 질적도약으로 견인하고자 하는 노력을 확실하게 해야 한...
한국을 바꿀 10개의 질문 150살까지 살 인류 벌써 태어났다? 오스태드-올샨스키 내기의 승자는... 세계서 가장 빠르게 늙어가는 한국 역노화 연구로 미래시장 선점하자
2024년 노벨 생리의학상을 수상한 빅터 앰브로스 미국 메사추세츠대 교수가 연설을 위해 지난 7일 비영리 학술단체인 최종현 학술원에 방문했다. 연설을 시작하기 앞서 청중들에게 자신...
필자는 예쁜꼬마선충을 소재로 생명의 신비를 밝혀내는 연구를 해 온 생물학자이다. 올해는 연구실 설립 30주년이고 정년도 2년밖에 남지 않았다. 이제 일생 동안의 연구를 되돌아보면서...
서울대는 이준호 생명과학부 교수 연구팀이 예쁜꼬마선충과 생쥐 모델에서 텔로미어가 길이를 유지하는 전략인 '대안적인 방식(ALT)'을 분석해 유전적, 분자적 메커니즘을 규명했다고 2...
끝없이 일을 해야 하는 뇌에 허락된 단 하나의 선물은 망각, 즉 잊어버리기라는 말이 있다. 고통을 잊지 않으면 고통의 기억 속에서 계속 상처받을 것이기 때문이다. 다른 한편으로는 ...
1. 배고픔의 기억은 평생 갈 뿐 아니라 대를 이어서도 간다 2. 산은 산이요, 물은 물이로다: 개는 개이고 소가 소인 것은 유전 덕분이다 3. 동물 발생과 후성유전학 4. ...
4.19혁명 기념일인 4월 19일은 필자와 같은 생명과학자에게는 진화론의 찰스 다윈의 기일이어서 의미가 더 깊다. 오늘, 민주주의 사회에서의 과학을 되돌아보는 계기로 삼고 성찰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