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만치료제를 복용하면 음식물을 먹지 않고 보기만 해도 포만감을 느끼게 되는 원리를 국내 연구진이 규명했다. 6월 28일 서울대학교에 따르면 이 대학 뇌인지과학과 최형진 교수 연구...
연구뉴스
국내 연구팀이 세포에서 쓰이는 에너지를 만드는 미토콘드리아의 발열 메커니즘을 규명하고 미토콘드리아에서 발생한 열도 세포 밖의 열 자극과 같이 세포 내 '열충격 방어 시스템'을 작동...
서울대학교 조양기 교수(교신저자) 연구팀(제 1저자 오석근 박사, 공동저자 손석우 교수, 정수종 교수)은 2050 탄소 중립이 해양열파에 미치는 영향을 밝혔다. 해양열파(Mari...
국내 연구진이 호르몬을 사용해 식물 통기 조직의 형성 과정을 조절하는 데 성공했다. 부양식물인 개구리밥을 사용한 연구에서 통기 조직의 발달 및 발달 조절 메커니즘을 처음으로 확인한...
서울대학교 이현숙 교수 연구팀은 텔로미어가 복제될 때 네 가닥 텔로미어 G4 구조의 역동성이 유지되지 못하면 ALT가 발생하며, 이때 ALT 세포의 텔로미어에는 텔로미어 헤테로크로...
서울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지구환경과학부 손석우 교수 연구팀은 미래 기후 이산화탄소 증가-감소 실험을 통해 중위도 스톰트랙의 이력현상(히스테리시스, Hysteresis)을 최초로 보고...
17일 서울대에 따르면 지구환경과학부 김태우 박사(제1저자)와 김종성 교수(교신저자)가 주도하고 한국해양수산개발원, 캐나다 서스캐처원 대학, 군산대 등이 참여한 산학연 공동연구팀은...
2월 27일 이준호 서울대 생명과학부 교수와 김진섭 성균관대 생명과학과 교수 연구진은 예쁜꼬마선충 신경망 진화의 비밀을 담은 논문을 국제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에 발표했다고...
25일 과학계에 따르면 김창영 서울대 물리천문학부 교수와 이수영 박사과정 연구원은 강창종 충남대 교수와의 공동 연구를 통해 교자성의 존재를 보여 주는 실험 증거를 지난달 18일 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