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학교 이현숙 교수 연구팀은 텔로미어가 복제될 때 네 가닥 텔로미어 G4 구조의 역동성이 유지되지 못하면 ALT가 발생하며, 이때 ALT 세포의 텔로미어에는 텔로미어 헤테로크로...
자연대연구
본 연구는 연골육종 특이적인 표적 항암치료 전략이 부족한 상황에서, SIRT1 저해제를 기반으로 한 연골육종 악성화 억제를 기대할 수 있는 새로운 생물학적 기전을 밝혀냈다.
서울대학교 생명과학부 이준호 교수와 충남대학교 김준 교수(공동교신저자) 연구팀이 공동연구를 통해 선형동물에서 이러한 텔로미어 DNA 진화가 최소 3회 일어났음을 밝혀내, 동물에서도...
국내 연구진이 호르몬을 사용해 식물 통기 조직의 형성 과정을 조절하는 데 성공했다. 부양식물인 개구리밥을 사용한 연구에서 통기 조직의 발달 및 발달 조절 메커니즘을 처음으로 확인한...
서울대팀, 코로나19 감염의 관문이 되는 바이러스 단백질을 컴퓨터로 연구 (바이오 아카이브 논문 주소: https://doi.org/10.1101/2020.05.20.103...
울대학교 자연과학대학 화학부 박승범 교수 연구팀은 ‘분자단일화 전략을 이용한 생물직교 이중표적 형광 프로브 개발’연구 성과가 국제 우수학술지‘Angewandte Chemie Int...
2021.05 국회보 Vol.654 팬데믹의 파도를 넘어 과학으로 융성하는 행복한 나라로
17일 서울대에 따르면 지구환경과학부 김태우 박사(제1저자)와 김종성 교수(교신저자)가 주도하고 한국해양수산개발원, 캐나다 서스캐처원 대학, 군산대 등이 참여한 산학연 공동연구팀은...
서울대는 화학부 김석희 교수 연구진(천연물과학연구소 겸무)과 천연과학연구소 오동찬 교수 연구진이 P450 펩타이드 거대고리화 효소의 다양성을 생물정보 분석으로 크게 확장하고 그 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