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리과학부 정인지 교수가 '2025 아시아 젊은 과학자 펠로십'(AYSF) 수상자로 선정됐다. 2021년 서울대에 부임한 정 교수는 미국 브라운대와 프린스턴대에서 수학한 수리유체역...
교수소식
사람이 벌레라니’는 예쁜꼬마선충을 통해 생명과학의 본질을 꿰뚫는다. 예쁜꼬마선충 연구의 세계적 계보를 이은 이준호 서울대 생명과학부 교수가 30년간 연구해 온 결과를 기막힌 과학의...
김종성 서울대 지구환경과학부 교수를 만나 판결에 명운이 걸린 수라갯벌에 대해 물었다. 김 교수는 국내 갯벌의 탄소 저장·흡수 능력을 세계 최초로 전국 단위에서 조사·평가하는 등 독...
어류 양식(Aquaculture)과 식물 수경 재배(Hydroponics)를 융합한 첨단 농법도 등장했다. 이른바 ‘아쿠아포닉스’다. 어류 양식 과정에서 만들어지는 유기물이 식물을...
서울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명과학부 이준호 교수(미생물학 학사 1980-1986)가 자연과학대학 교육연구기금 등 기초과학 발전을 위하여 서울대학교에 1억 원을 쾌척했다. 이 교수는 ...
국내 과학AI 분야의 석학과 전문가들이 뜻을 모아 지난 5일, ‘한국과학AI포럼(Korea Science AI Forum. 이하, KSAIF)’ 창립총회를 개최하고 공식 출범했다....
韓·美·佛서 보안기업 크립토랩 이끄는 천정희 서울대 교수 개인정보 탈취 사실상 봉쇄 동형암호 성과로 세계 주목 의료 분야선 환자 특정 않고 진단명 등 필요 정보만 활용 5...
제주대학교 기초과학연구소 자율운영중점연구지원사업단은 지난 17일 한라도서관에서 ‘제34회 기초과학 전문가 초청 대중 강연’을 개최했다. 연사로 나선 이준호 서울대 기초과학연구원장...
세계 최초 상용화 가능한 동형암호(Homomorphic Encryption) 알고리즘을 개발한 천정희 서울대 수리과학부 교수는 항상 새롭고 쉬운 비유를 고민한다. ‘꿈의 암호 기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