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9월 4일, 자연과학대학 28동 301호에서 한국과학기자협회장 이은정 연사의 '과학과 사회의 만남:미디어에서 본 과학기술' 강연이 있었다.
자연대人
수리과학부 정인지 교수가 '2025 아시아 젊은 과학자 펠로십'(AYSF) 수상자로 선정됐다. 2021년 서울대에 부임한 정 교수는 미국 브라운대와 프린스턴대에서 수학한 수리유체역...
서울대학교 DaXingHao팀(수리과학부 최다니엘/컴퓨터공학부 이동현/이성호부 학부생)이 2025년 9월 4일 아제르바이잔 바쿠에서 열린 제49회 국제 대학생 프로그래밍 경시대회(...
서울대가 정보보호 대학원을 신설해 내년부터 입학생을 받는다. 연이은 사이버 공격, 해킹 사고로 정보보안 분야에 대한 관심이 뜨거운 가운데 IT업계와 학계에서도 해당 과정을 주목하고...
사람이 벌레라니’는 예쁜꼬마선충을 통해 생명과학의 본질을 꿰뚫는다. 예쁜꼬마선충 연구의 세계적 계보를 이은 이준호 서울대 생명과학부 교수가 30년간 연구해 온 결과를 기막힌 과학의...
김종성 서울대 지구환경과학부 교수를 만나 판결에 명운이 걸린 수라갯벌에 대해 물었다. 김 교수는 국내 갯벌의 탄소 저장·흡수 능력을 세계 최초로 전국 단위에서 조사·평가하는 등 독...
다양한 사회 현상을 양자역학적 관점으로 탐구하는 양자사회과학에 대해 소개한다.
해양과학자이자 lamp 연구팀에 소속된 황청연 교수님을 인터뷰하였다.
2025 여름 자몽 시리즈의 다섯 번째 기사이다. 과학데이터혁신연구소에서 위성기상학 분야의 학제 간 연구를 수행하고 계신 이상무 교수님을 인터뷰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