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가 정보보호 대학원을 신설해 내년부터 입학생을 받는다. 연이은 사이버 공격, 해킹 사고로 정보보안 분야에 대한 관심이 뜨거운 가운데 IT업계와 학계에서도 해당 과정을 주목하고...
자연대人
사람이 벌레라니’는 예쁜꼬마선충을 통해 생명과학의 본질을 꿰뚫는다. 예쁜꼬마선충 연구의 세계적 계보를 이은 이준호 서울대 생명과학부 교수가 30년간 연구해 온 결과를 기막힌 과학의...
김종성 서울대 지구환경과학부 교수를 만나 판결에 명운이 걸린 수라갯벌에 대해 물었다. 김 교수는 국내 갯벌의 탄소 저장·흡수 능력을 세계 최초로 전국 단위에서 조사·평가하는 등 독...
다양한 사회 현상을 양자역학적 관점으로 탐구하는 양자사회과학에 대해 소개한다.
해양과학자이자 lamp 연구팀에 소속된 황청연 교수님을 인터뷰하였다.
2025 여름 자몽 시리즈의 다섯 번째 기사이다. 과학데이터혁신연구소에서 위성기상학 분야의 학제 간 연구를 수행하고 계신 이상무 교수님을 인터뷰하였다.
서울대학교 지구환경과학부의 자원지질학 전공이자 데이터기반 물질과 우주 연구센터의 지구·행성 탐사팀에 속해 있는 서정훈 교수님을 인터뷰하였다.
2025 여름 자몽 시리즈의 네 번째 기사이다. 과학데이터혁신연구소에서 행성지질학 분야의 학제 간 연구를 수행하고 계신 우주선 교수님을 인터뷰하였다.
2025년 8월에 진행된 제19회 자연과학체험캠프를 취재하였다.



![[인터뷰] 김종성](/webdata/newsroom/images/20250903/521za78z3b9z4b1zaffzd9ez414z8a3zc67z3a9z40.jpg)
![[2025 여름 자몽 시리즈: 자연과학의 다학제적 탐색] 7. 사회를 바라보는 새로운 시선, 양자사회과학](/webdata/newsroom/images/20250809/b01zd03z0b4z5e4z485z8b1zf6fz8dfz57az225zbc.png)
![[2025 여름 자몽 시리즈: 자연과학의 다학제적 탐색] 6. 해양생물학, 융합과학의 장](/webdata/newsroom/images/20250811/a7azef1z3bez88dz54cz8f1z870z93bzd27zb5ez2e.png)
![[2025 여름 자몽 시리즈: 자연과학의 다학제적 탐색] 5. 대기과학자가 말하는 학제 간 연구의 현재와 미래](/webdata/newsroom/images/20250810/7a5z107z49bz526z1a4z876z5bczd3dzc0dzaf1z2e.png)
![[2025 여름 자몽 시리즈: 자연과학의 다학제적 탐색] 4. 지질학의 경계를 넘다 - 암석에서 행성, 그리고 생명까지(下편)](/webdata/newsroom/images/20250811/414zd0bzf0bzbc7zaa2z553z1afz4d1z56dzc10z56.png)
![[2025 여름 자몽 시리즈: 자연과학의 다학제적 탐색] 4. 지질학의 경계를 넘다 - 암석에서 행성, 그리고 생명까지(上편)](/webdata/newsroom/images/20250810/30fz891zf12z946z0e4ze07z7bdz47cz6a8z0bez27.png)
